본문 바로가기
  • 슈퍼초이 LIFE

근로기준법3

고용노동부 출산/육아 지원 제도 - 출산전후휴가급여 안녕하세요 슈퍼초이가 궁금해서 찾아보는 임신, 출산, 육아 지식입니다. 오늘은 출산전후휴가급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산전후휴가급여 ( 출산 전/후 휴가 급여) 사업주는 임신근로자에게 출산 전,후로 총 90일(다태아의 경우 120일)의 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최초 60일은 유급으로 주어야 하므로 휴가 중에도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출산 후의 휴가 일수가 45일(다태아의 경우 60일)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하니 임신근로자는 휴가 일수 계산을 잘 해야 합니다. 지원 대상 근로기준법 제 74조에 의해 출산전후휴가를 부여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다만, 휴가 종료일 이전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 6개월 이상 고용되어 있어야 함 지원 내용 출산전후휴가 기간에는 매월 통상임금.. 2024. 2. 5.
태아 검진시간 허용 안녕하세요 ! 슈퍼초이가 궁금해서 찾아보는 임신,출산,육아 지식입니다. 오늘은 태아 검진시간 허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아 검진시간 허용 제도 태아 검진시간 허용 제도는 임신한 여성 근로자가 임산부 정기건강진단에 필요한 시간을 청구할 수 있고, 사업주가 이를 이유로 임금을 삭감할 수 없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 제74조의2) 쉽게 설명하자면 직장에 다니는 여성 근로자가 임신한 경우, 직장에 다니면서도 병원 검진을 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기준 다만, 병원에 간다고 아무때나 아무렇게나 인정해줄 수는 없겠죠 ? 모자보건법에 따른 임산부 정기건강진단에 필요한 시간을 지원합니다. 기준을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임신 28주까지: 4주마다 1회 임신 29주에서 36주까지: 2주마.. 2023. 4. 18.
직장인 지식_퇴사, 퇴사 사유, 당일 퇴사, 퇴사 통보 기간 안녕하세요! 슈퍼초이가 궁금해서 찾아보는 직장인 지식입니다. 직장인 퇴사, 퇴사 사유, 당일 퇴사, 퇴사 통보 기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퇴사 ? 사직 ?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을 그만두는 것! 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사직원(사표)를 제출하고 결재가 완료되면 퇴사(사직) 처리가 됩니다. 퇴사 사유 ? 개인의 상황과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회사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처우 개선이 되지 않을 때, 직장내 괴롭힘을 당할 때, 직장동료들과 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때, 직무가 맞지 않을 때, 직무를 변경할 때,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할 때, 등등 다양한 이유로 퇴사를 합니다. 하지만 회사에 통보할 때는 일신상의 사유 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합니다. 당일 퇴사 ? 퇴사 통보 기간? 당일 퇴사 가능한가 ? 하시는.. 2023. 1. 1.